![]() ![]() | ||||||||||||||||||||||
![]() 큰습지쥐 후모식 표본의 두개골 일부. | ||||||||||||||||||||||
보전 상태 | 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![]() 관심대상(LC), IUCN 3.1 | ||||||||||||||||||||||
생물 분류 | ||||||||||||||||||||||
| ||||||||||||||||||||||
학명 | ||||||||||||||||||||||
Lundomys molitor (Winge, 1887) | ||||||||||||||||||||||
![]() 큰습지쥐의 분포 지역 | ||||||||||||||||||||||
이명 | ||||||||||||||||||||||
Hesperomys molitor Winge, 1887 Oryzomys molitor: Trouessart, 1898 |
큰습지쥐 또는 룬트양서쥐(Lundomys molitor)는 비단털쥐과 쌀쥐족에 속하는 설치류이다. 남아메리카 남동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반수생 동물이다. 우루과이와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 인근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지만, 이전에는 북쪽으로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와 남쪽으로 아르헨티나 동부 지역에 분포했다. 아르헨티나 종은 브라질과 우루과이에 현존하는 종과 구별될 수 있다. 큰습지쥐는 대형 설치류로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평균 193mm이고, 긴 꼬리와 큰 뒷발 그리고 길고 무성한 털이 특징적이다. 물 위에 갈대로 지탱되는 둥지를 만들며, 현재 위협을 받고 있지는 않다. 외형적으로 브라질습지쥐 와 유사하고 복잡한 분류학 역사를 보여 왔으며 브라질습지쥐와 혼동을 일으키지만, 다른 특징들 때문에 큰습지쥐속(Lundomys)의 유일종으로 분류하고 있다.
다음은 2006년 웩슬러 등(Weksler_et_al..)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.
쌀쥐족 |
| ||||||||||||||||||